금융 경제 보험 정보
도리깨 질에서 배우는 심플한 골프 스윙 원리 본문
도리깨질이 무엇일까? 왼쪽·오른쪽 손에 각각의 막대를 들고, 오른손에 잡은 막대에 곡식을 메달아 놓고 왼쪽 막대에 "혐" 소리를 내며 때려서 곡식을 털어내는 일이다. 이 도리깨질은 우리 조상들이 예로부터 사용하던 수확기구로, 매우 간단하면서도 고도의 과학적 원리에 의한 효율적인 기구이다.
이 도리깨질을 이해하면 골프 스윙이 너무나 쉬운 것이다. 왼쪽 손으로 만든 왼쪽 막대는 몸이고, 오른쪽 손으로 잡은 막대는 그립과 클럽이며, 막대의 끝에 곡식이 메달려 있는 부분은 헤드가 된다. 사진의 중심 부분에 있는 끈은 클럽을 잡고 있는 오른팔과 같다. 이 도리깨질에서 클럽(오른손 막대와 끈)을 잡고 있는 왼쪽 막대(몸)는 절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몸은 절대로 움직이지 말고, 어깨만 회전시키며 오른팔을 내리고 클럽(오른손 막대)을 몸 앞쪽으로 수직으로 내리면 절대적인 가속도가 붙은 클럽 헤드가 공을 때리게 된다.
실제 골프 스윙의 템포로 도리깨질을 해보라! 매우 쉬운 동작으로 매우 큰 소리가 날 것이다. 어깨를 회전하며 왼쪽 골반을 약간 열어주면, 더 힘들이지 않고 클럽을 위로 올릴 수 있어 편안한 백스윙과 피니시를 할 수 있다. 도리깨질을 할 때 아래로 내려치는 것이 아니라, 수평으로 휘둘러야 가속도를 붙여 헤드 스피드를 높일 수 있는 것도 이해가 될 것이다. 드라이버는 이 원리와 꼭 같다. 아이언과 숏게임은 이 원리와 조금 다르다. 공은 아래에 있기 때문에, 클럽을 위로 올리지 않고 수평으로 뿌리면 공이 맞지 않는다. 도리깨질 원리에 한 가지 원리를 더 추가해야 한다. 도리깨질에서 몸을 약간 구부리면 헤드가 땅으로 내려간다. 심플하지 않은가?
아이언에서도 몸을 약간 구부려 어깨 회전 등에서 클럽 헤드가 수평으로 움직이면, 헤드가 공을 지나서 공을 맞히게 된다. 공을 치고 나서 땅이 파져야 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수직으로 내려치는 도리깨질에서 수평으로 치는 골프 스윙의 원리를 이해하자. 심플한 골프 스윙이 될 것이다.